청마 유치환 선생은 편지쓰기에 일가견이 있었던 것 같다. <행복>이라는 시가 그 사실을 증명해준다. 젊었던 날 우연히 구했던 시집속에서 그 시를 읽어보고는 왜그런지 마음에 들어 외워보기로 했었다. 다 외워두진 못했지만 한두 구절은 제법 오랫동안 기억하고 있었다.
행복
유치환
-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에메랄드 빛 하늘이 환히 내다 뵈는
우체국 창문 앞에 와서 너에게 편지를 쓴다.
행길을 향한 문으로 숱한 사람들이
제각기 한 가지씩 생각에 족한 얼굴로 와선
총총히 우표를 사고 전보지를 받고
먼 고향으로 또는 그리운 사람께로
슬프고 즐겁고 다정한 사연들을 보내나니.
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에 시달리고 나부끼어
더울 더 의지 심고 피어 헝클어진
인정의 꽃밭에서
너와 나의 애틋한 연분도
한 방울 연련한 진홍빛 양귀비꽃인지도 모른다.
-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
- 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즈막 인사가 될지라도
사랑했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
청마 유치환은 정운 이영도 시인에게 줄기차게 편지를 보냈다고 전해진다. 이 시도 어쩌면 그 일과 연관이 있으리라. 이영도는 호우 이호우 선생과 남매지간이다. 이영도에게 마음이 앗길 당시의 유치환에게는 부인이 있었으니 좋게보면 로맨스지만 나쁘게보면 다르게 생각할 소지가 다분히 있는 것이다.
1991년 2월 8일자 동아일보에는 그 사연이 제법 자세하게 보도된바 있으므로 관심이 있다면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는 것도 재미있으리라. 청마 선생이 남긴 시에 <그리움>이라는 작품이 있다. 워낙 유명한 시여서 한번쯤은 읽어 보았으리라.
그리움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임은 물같이 까딱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날 어쩌란 말이냐
혹시 이 시도 정운 이영도와 관계가 있는게 아닐까?
위에서 언급한 동아일보 <문단수첩>에 글을 쓴 이근배씨의 증언에 의하면 1967년에 청마선생이 교통사고로 숨지고 난 뒤 주간한국이라는 주간지에 시인 박성용이 쓴 <사랑하였으므로 행복하였네라>라는 글이 실렸다고 한다.
글 내용 속에 청마선생이 정운에게 쓴 편지가 수백통이나 된다는 이야기가 들어있는게 발단이 되어 정운 잉영도 선생이 청마에게 받은 편지글을 공개함으로서 두 사람사이의 사연이 공개되었다는 것이다. 그 사연이야 어찌 되었든간에 '행복'이라는 유명한 시가 탄생된 배경은 남다르기만 한 것이 사실이다.
울산 간절곶에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크다는 우체통이 자리잡고 있다. 전자메일이 판치는 세상에 편지나 엽서가 갖는 매력과 의미가 어찌 그리 시시하게 여겨지겠는가마는 문명의 편리함만을 좇아 달려나가는 세태가 괜히 얄궂기만 하다.
우리도 한번씩은 편지라는 것을 써보자. 편지의 존재를 완전히 잊어버리기 전에 그리운 사람들에게 글을 써서 날려봐야하지 않을까?
너와 내가 청마도 아니고 정운도 아닐지라도 그럴수록 우리가 더욱 더 편지를 써봐야하지 않을까 싶다. 나는 그동안 아이들에게서 받은 편지를 보관해왔다. 제법 버리기도 했지만 어떤 것들은 버리기가 아까워서 아직도 간직하고 있기도 하다.
울산 간절곶에서 엄청 큰 우체통을 볼 수 있었다. 그렇기에 어설프게나마 몇자 끄적거려본 것이다.
어리
버리
'사람살이 > 세상사는 이야기 1 My Way (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살이도 항상 고소하고 구수했으면 좋겠다 (0) | 2011.06.29 |
---|---|
참으로 멀리 그녀를 보내야했다 - 그게 인생이었다 (0) | 2011.06.23 |
내 인생의 기록이었다. 그러다가 3000번째가 되었다 (0) | 2011.06.15 |
그게 그리 쉽게 보이는가보다 - 존경받고 살기가 쉬운게 아니었더라 (0) | 2011.06.13 |
주특기를 가지고 즐기면서 먹고사는 사람은 행복하다 (0) | 201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