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깜쌤의 세상사는 이야기 : '난 젊어봤다' - 자유 배낭여행, 교육, 휘게 hygge, 믿음, 그리고 Cogito, Facio ergo sum
  • 인생 - 그리 허무한게 아니었어요. 살만했어요
자녀교육, 초등교육/교육단상(敎育短想)

수업 더하자는데 어디가 덧나니?

by 깜쌤 2010. 12. 27.

 


 

아이들 입장에서는 방학만큼 기다려지는 시간이 또 있을까? 12월 23일 목요일, 드디어 45일간의 방학이 시작되는 날이다.  이런 날은 들뜨기 십상이어서 아침부터 교실은 난장판이 되기 딱 알맞다. 하지만 내가 가르치는 교실에서는 그런 현상이 벌어지는 법이 거의 없다.

 

어느 정도 아이들이 교실에 들어오고나면 그 다음부터는 조용해지기 때문이다. 내가 교실에 들어서는  순간에는 거의 쥐죽은듯이 조용하다. 다른 선생님들은 그런 모습을 보고 도저히 이해가 안되는 현상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방학을 하는 날이라고 해서 예외가 아니다. 아이들은 단정하게 자기 자리에 앉아서 책을 보고 있었다. 아침에 메신저 비슷한 내부 연락망과 실내 방송을 통해 오늘 일정이 전달되었다.

 

오전 10시에 방송으로 방학식을 한 후 나머지 시간은 담임교사의 재량에 맞긴다는 것이었다. 이럴 경우 아이들 입에서는 환호성이 쏟아지는 것이 정상이겠지만 우리반 아이들은 모두 조용히 입을 다물고 있기 마련이다. 

아무리 학교 일정이 그렇다고 해도 12시 반 정도는 되어야 집에 갈 수 있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기 때문이다. 정말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나는 수십년간 이런 원칙을 지켜왔다.

 

일단 학교에 온 이상은 규정된 시간을 채우고 나서야 집에 갈 수 있다는 원칙 말이다. 젊었을땐 별난 처신이라고 선배선생님들로부터 꾸중아닌 꾸중을 듣기도 했다.   

 



 

 일찍 보내주면 아이들 모두가 좋아한다는 사실쯤은 나도 잘 안다. 나도 그만큼 편하다. 하지만 그럴 수 없다는게 문제다. 다르게 생각하면 이왕 학교에 온 것이니 차분하게 앉아서 수업할 것은 다하고 가자는 식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23일 오후부터는 실제적인 방학이 시작되어 한달 반가량이나 이어지므로 조금 늦게 가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 아닌가 말이다. 

 

다른 반 아이들은 모두 다 집에 가는데 12시 반까지 붙들려 있어야 하는 아이들에게서 무슨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겠느냐는 식으로 말할 수도 있다. 내가 원하는 것은 원칙은 지켜져야한다는 사실을 아이들이 알아주었으면 하는 것 뿐이다. 

 

다르게 말하면 이럴때일수록 아이들로 하여금 자존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한다. '남들은 다 일찍 갔다. 그러나 우리는 기본 원칙을 지켜서 조금 더 공부를 했다. 남이 안하는 것을 했으므로 그만큼 더 자랑스럽다'는 식으로 생각이 들도록 한다는 말이다.  

 

 

 

 

어릴때 체득하게 된 소중한 습관이나 지식은 평생을 가는 법이다.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왜 생겨난 것일까? 올해도 나는 12시 반이 되어서야 일정을 끝내주었다. 우리학교에서는 그 시간이 4교시가 끝나는 시각이기 때문이다. 

 

미리 마침회를 다해두고 자기 자리까지 깨끗하게 정리정돈을 해둔 뒤 초단위까지 세밀하게 맞춰둔 벽시계가 정확하게 12시 30분을 가리켰을때 '이만'이라는 교사의 말과 함께 끝인사를 한 것이다. 나는 평생을 이런 식으로 살았다. 이렇게 살고자하면 교사 자신이 피곤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습관만 되면 정말 편하다. 학부모님들도 교사의 이런 행동방식을 아는 순간부터 여간해서는 시비를 걸지 않는다.    

 

 

 

교사라는 직업은 정말 어려운 직업이다. 직업의 안정성만을 따져서 교사를 하겠다고 나서면 나는 도시락을 싸들고 다니면서 말리고 싶다. 사명감과 책임감이 없으면 감당하기 어려운 직업임에도 불구하고 우선 편하고 안정적이라는 이유만으로 교직을 택하는 젊은이들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교사는 함부로 아파서도 안되는 직업이라고 하면 젊은 선생님들은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교사에게는 학기중에는 아플 권리도 없다'라고 말하면 무슨 케케묵은 소리를 하고 있느냐는 식으로 오해를 하기도 한다. 물론 이렇게 말하는 나도 작년 가을에는 갈비뼈가 세개나 부러지는 중상을 입고 보름 정도 출근을 못하기도 했었다.

 

내가 출근하지 못했던 그 기간 동안 일년내내 공을 들여놓았던 아이하나가 엇길로 나가는 빌미를 제공해버리고 말았다. 그 아이는 결국 올해들어 학교에서 잘리는 비극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내가 결근했던 것때문에 그 아이가 꼭 그런 결과를 만들어낸 것은 아니라고 위안을 삼을 수도 있지만 적어도 나에게는 그렇게 다가오지 않았다. 

 

 

 

 

어리

버리

 

 

 

 

 

'자녀교육, 초등교육 > 교육단상(敎育短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분에서 등산하다  (0) 2011.04.07
첫발령지를 찾아가보았어  (0) 2011.01.22
교육 얼치기 2   (0) 2010.11.11
교육 얼치기 1  (0) 2010.11.06
천사  (0) 2010.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