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깜쌤의 세상사는 이야기 : '난 젊어봤다' - 자유 배낭여행, 교육, 휘게 hygge, 믿음, 그리고 Cogito, Facio ergo sum
  • 인생 - 그리 허무한게 아니었어요. 살만했어요
사람살이/그 남자와 그 여자

그 남자와 그 여자 2

by 깜쌤 2018. 11. 19.

 

 

마음이 특별히 허전할 때 한번씩은 서재에서

호롱불을 켭니다.

 

 

 

단정함과 정결함, 그리고 단아함을 좋아하기에 호롱불을 켜두고

음악을 듣는 시간을 너무 귀하게 여깁니다.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는 것을 좋아하는 제가 자주

가보는 장소가 있습니다.

 

 

 

 바로 남천 시냇가에 자리한 교촌입니다. 한옥 지붕이 주는

간결함 때문이죠.

 

 

 

촛불을 켜두는 날에 어울리는 음악은 따로 있습니다.

박목월님의 시에 김성태씨가 곡을 붙인 가곡입니다.

 

 

 

 

 

 

이별의 노래

 

                         박 목 월

 

기러기 울어예는  하늘 구만리

바람이 싸늘불어 가을은 깊었네

아 ! 너도가고  나도 가야지

 

 

한낮이 끝나면 밤이 오듯이

우리의 사랑도 저물었네

아 ! 너도가고  나도 가야지

 

산촌에 눈이쌓인 어느날 밤에

촛불을 밝혀두고 홀로 울리라

아 !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첼로로 나직하게 연주하는 곡이 분위기에 어울릴듯 합니다.

 

이별의 곡 첼로 연주 https://www.youtube.com/watch?v=7LMRQEUpYPo

 

 

 

쇼팽이 작곡한 이별의 을 듣는 것도 좋아하는데 특별히 

손열음씨가 연주한 곡을 아주 좋아합니다.

 

 

 

 

목월 선생이 '이별의 노래'라는 시를 쓸 땐

그만한 사연이 숨어있었습니다. 

 

 

 

피천득 선생의 인연같은 사연을 훨씬 뛰어넘는

중년의 바람기와 맞물린 일이죠.

 

 

피천득님의 <인연> 전문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문단은 제가 임의대로 나누었으니 오해없으시기 바랍니다.

지난 사월, 춘천에 가려고 하다가 못 가고 말았다. 나는 성심 여자 대학에 가 보고 싶었다. 그 학교에, 어느 가을 학기, 매주 한 번씩 출강한 일이 있었다. 힘드는 출강을 한 학기 하게 된 것은, 주 수녀님과 김 수녀님이 내 집에 오신 것에 대한 예의도 있었지만, 나에게는 사연이 있었다.

수십 년 전, 내가 열 일곱 되던 봄, 나는 처음 동경에 간 일이 있다. 어떤 분의 소개로 사회 교육가 M 선생 댁에 유숙을 하게 되었다. 시바쿠에 있는 그 집에는 주인 내외와 어린 딸, 세 식구가 살고 있었다. 하녀도 서생(書生)도 없었다. 눈이 예쁘고 웃는 얼굴을 하는 아사코(朝子)는 처음부터 나를 오빠같이 따랐다. 아침에 낳았다고 아사코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고 하였다. 
 

그 집 뜰에는 큰 나무들이 있었고, 일년초(一年草) 꽃도 많았다. 내가 간 이튿날 아침, 아사코는 스위이트피이를 따다가 화병에 담아, 내가 쓰게 된 책상 위에 놓아 주었다. 스위이트피이는 아사코같이 어리고 귀여운 꽃이라고 생각하였다.

성심 여학원 소학교 일 학년인 아사코는 어느 토요일 오후, 나와 같이 저희 학교에까지 산보를 갔었다. 유치원부터 학부(學部)까지 있는 카톨릭 교육 기관으로 유명한 이 여학원은, 시내에 있으면서 큰 목장(牧場)까지 가지고 있었다. 

 아사코는 자기 신장을 열고, 교실에서 신는 하얀 운동화를 보여 주었다. 내가 도쿄를 떠나던 날 아침, 아사코는 내 목을 안고 내 빰에 입을 맞추고, 제가 쓰던 작은 손수건과 제가 끼던 작은 반지를 이별의 선물로 주었다.



그 후, 십 년이 지나고 삼사 년이 더 지났다. 그 동안 나는, 국민학교 일학년 같은 예쁜 여자 아이를 보면 아사코 생각을 하였다. 내 가 두 번째 도쿄에 갔던 것도 사월이었다. 도쿄역 가까운 데 여관을 정하고 즉시 M 선생 댁을 찾아갔다. 
아사코는 어느덧 청순(淸純)하고 세련되어 보이는 영양(令孃)이 되어 있었다. 그 집 마당에 피어 있는 목련꽃과도 같이. 그 때, 그는 성심 여학원 영문과 3학년이었다. 나는 좀 서먹서먹했으나, 아사코는 나와의 재회(再會)를 기뻐하는 것 같았다. 아버지, 어머니가 가끔 내 말을 해서 나의 존재를 기억하고 있었나 보다.



그 날도 토요일이었다. 저녁 먹기 전에 같이 산보를 나갔다. 그리고, 계획하지 않은 발걸음은 성심 여학원 쪽으로 옮겨져 갔다. 캠퍼스를 두루 거닐다가 돌아올 무렵, 나는 아사코 신장은 어디 있느냐고 물어 보았다. 그는 무슨 말인가 하고 나를 쳐다보다가, 교실에는 구두를 벗지 않고 그냥 들어간다고 하였다. 
 그리고는, 갑자기 뛰어가서 그 날 잊어버리고 교실에 두고 온 우산을 가지고 왔다. 지금도 나는 여자 우산을 볼 때면, 연두색이 고왔던 그 우산을 연상(聯想)한다. '셸부르의 우산'이라는 영화를 내가 그렇게 좋아한 것도 아사코의 우산 때문인가 한다. 아사코와 나는 밤 늦게까지 문학 이야기를 하다가 가벼운 악수를 하고 헤어졌다. 새로 출판된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세월'에 대해서도 이야기한 것 같다.

 




그 후 또 십여 년이 지났다. 그 동안 제 2차 세계 대전이 있었고, 우리나라가 해방이 되고, 또 한국 전쟁이 있었다. 나는 어쩌다 아사코 생각을 하곤 했다. 결혼은 하였을 것이요, 전쟁통에 어찌 되지나 았았나, 남편이 전사하지나 않았나 하고 별별 생각을 다 하였다. 1954년, 처음 미국 가던 길에 나는 도쿄에 들러 M 선생 댁을 찾아갔다. 뜻밖에 그 동네가 고스란히 그대로 남아 있었다. 

 

 

끝이 아닙니다. 나머지 뒷부분을 계속하겠습니다.

 

 


그리고, M 선생네는 아직도 그 집에 살고 있었다. 선생 내외분은 흥분된 얼굴로 나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한국이 독립이 되어서 무엇보다고 잘 됐다고

치하(致賀)하였다. 아사코는 전쟁이 끝난 후, 맥아더 사령부에서 번역일을 하고 있다가, 거기서 만난 일본인 2세와 결혼을 하고 따로 나서 산다는 것이었다. 아사코가 전쟁 미망인이 되지 않은 것은 다행이었다. 그러나, 2세와 결혼하였다는 것이 마음에 걸렸다. 만나고 싶다고 그랬더니, 어머니가 아사코의 집으로 안내해 주었다.

 

 

 

뽀족 지붕에 뽀족 창문들이 있는 작은 집이었다. 이십여 년 전 내가 아사코에게 준 동화책 겉장에 있는 집도 이런 집이었다.
"아! 이쁜 집! 우리, 이담에 이런 집에서 같이 살아요."
아사코의 어린 목소리가 지금도 들린다.
십 년쯤 미리 전쟁이 나고 그만큼 일찍 한국이 독립되었더라면, 아사코의 말대로 우리는 같은 집에서 살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뾰족 창문들이 있는 집이 아니라도. 이런 부질없는 생각이 스치고 지나갔다. 그 집에 들어서자 마주친 것은 백합같이 시들어 가는 아사코의 얼굴이었다. '세월'이란 소설 이야기를 한 지 십 년이 더 지났었다. 그러나, 나는 아직 싱싱하여야 할 젊은 나이다. 남편은 내가 상상한 것과 같이 일본 사람도 아니고 미국 사람도 아닌, 그리고 진주군(進駐軍) 장교라는 것을 뽐내는 사나이였다. 아사코와 나는 절을 몇 번씩 하고 악수도 없이 헤어졌다.

그리워하는 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아사코와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오는 주말에는 춘천에 갔다 오려 한다. 소양강 가을 경치가 아름다울 것이다. 

 

 

 

 

'그리워하는 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그게 인생인가 봅니다.

 



어리버리


 

 

 

 

 

 

 

'사람살이 > 그 남자와 그 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남자와 그 여자 6  (0) 2018.12.26
그 남자와 그 여자 5  (0) 2018.12.18
그 남자와 그 여자 4  (0) 2018.12.01
그 남자와 그 여자 3  (0) 2018.11.22
그 남자와 그 여자  (0) 2018.11.07